전북도립미술관 《진격하는 B급들》
Jeonbuk Museum of Art 《B-Class Jokes》
2025


















전북도립미술관에서 열리는 《진격하는 B급들》은 국내외 22팀의 작가가 참여하여 동시대 시각예술 속에서 ‘B급 언어’와 ‘병치의 미학’을 통해 주류와 비주류, 정상과 비정상이라는 경계를 흔들고 자본주의적 조건 속에서 소외된 존재들을 조명하는 기획 전시입니다. 작품들은 파편화된 현실을 다양한 시각으로 엮어내며, 감각의 평등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공동체의 가능성을 탐색합니다.
일상의실천은 파편화된 현실에 대한 다양한 시각, 그 안에서의 B급 언어라는 개념을 기 드보르의 작품 <벌거벗은 도시>(The Naked City), 1957과 연결시켜 시각화였습니다. 드보르는 도시를 하나의 질서 정연한 지도 대신, 개인의 감각과 경험을 따라 재구성한 지도를 그려냈으며. 이는 기존 체계에서 주변으로 밀려난 조각들을 다시 연결하여 새로운 풍경을 드러내는 시도로써 《진격하는 B급들》의 포스터를 구성하는 시각 언어의 모티브로 활용하였습니다. 지도와 좌표계를 연상시키는 구조 속 느슨한 연대의 형태로 흩어진 정보값들은 다층적인 관계망을 시각화하며, 글자를 인쇄하고 조각내고 스캔하는 반복적인 과정을 통해 개발된 타이포그라피는 전시가 담은 불완전한 상태 속의 새로운 공동체적 세계를 함축적으로 담아냅니다.
프로젝트 디렉터. 권준호
그래픽디자인. 임민재
촬영. 임민재
클라이언트. 전북도립미술관
The B-Class Jokes, held at the Jeonbuk Museum of Art, is a curated exhibition featuring 22 teams of artists from Korea and around the world. Through ‘B-Class language’ and ‘the aesthetics of juxtaposition’ within contemporary visual art, it shakes the boundaries between mainstream and non-mainstream, normal and abnormal, while illuminating marginalized beings within capitalist conditions. The works weave together fragmented realities from diverse perspectives,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a new community grounded in sensory equality.
Everyday Practice visualized diverse perspectives on fragmented reality and the concept of B-Class language within it, connecting it to Guy Debord’s work <The Naked City>, 1957. Debord depicted the city not as an orderly map but as one reconstructed following individual senses and experiences. This attempt to reconnect fragments pushed to the margins by existing systems to reveal new landscapes served as the visual motif for the poster of The B-Class Jokes. Within a structure reminiscent of maps and coordinate systems, scattered data points form loose connections, visualizing a multi-layered network of relationships. The typography, developed through the repetitive process of printing, cutting, and scanning letters, implicitly captures the new communal world within the exhibition’s state of incompleteness.
Project Director. Kwon Jooho
Graphic Design. Lim Minjae
Photography. Lim Minjae
Client. 전북도립미술관